안녕하세요~! Hyun Gil입니다.
투자를 함에 있어서 여러가지 기술 지표를 참고할 수 있지만 상황에 따라 유동적으로 활용해야합니다. 오늘 다루어볼 볼린저 밴드도 기술적 분석에서 자주 사용되는 지표 중 하나이며, 주로 횡보장에서 활용되기도 합니다. 볼린저밴드의 기본 개념, 계산 방법, 활용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 볼린저밴드(Bollinger Band)란 무엇인가? |
볼린저 밴드(Bollinger Band)는 1983년에 미국의 재무분석가인 존 볼린저(John A. Bollinger)가 개발한 주가 기술적 분석 도구입니다. 주가의 변동에 따라 상하밴드의 폭이 같이 움직이게 하여 주가의 움직임을 밴드 내에서 판단하고자 고안되었습니다. 이를 이용해 주가의 변동성을 측정하고 현재 주가의 상대적 수준을 판단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볼린저 밴드는 주가 차트에 세 개의 선으로 표시되며, 아래와 같이 구성됩니다.
- 중심선(Middle Band) : 보통 20일 이동평균선(SMA, Simple Moving Average)으로 설정됩니다.
- 상단선(Upper Band) : 중심선에서 표준편차의 일정 배수(보통 2배)를 더한 값입니다.
- 하단선(Lower Band) : 중심선에서 표준편차의 일정 배수(보통 2배)를 뺀 값입니다.
위의 20일과 2배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값이며 필요에 따라 다른 종류의 평균값을 쓸 수 있습니다.
| 볼린저밴드 계산 방법 |
볼린저밴드의 3가지 지표는 아래와 같이 계산됩니다.
- 중심선(Middle Band)
- 중심선은 보통 20일 단순 이동평균선으로 계산됩니다.
- 계산 방법은 특정 기간에서의 주가의 평균을 구하는 것입니다.
- 표준펀차(Standard Deviation)
- 주가의 변동성을 측정하는 값입니다. 특정 기간 동안의 주가의 표준편차를 계산합니다.
- 계산 방법 : 각 주가와 평균 주가의 차이를 제곱한 후 평균을 구하고, 그 값의 제곱근을 구합니다.
- 상단선(Upper Band)
- 상단선은 중심선에 표준편차의 두 배를 더한 값으로 계산됩니다.
예시, Example
Assumption : 최근 20일 동안의 종가 데이터가 아래와 같다고 가정합니다.
50,52,53,54,55,56,57,58,59,60,61,62,63,64,65,66,67,68,69,70
- 중심선(SMA 20) :
- 종가의 합을 20으로 나누어 평균을 구합니다.
- 종가의 합을 20으로 나누어 평균을 구합니다.
- 표준편차 :
- 각 주가와 평균의 차이를 제곱한 후 평균을 구하고, 그 값의 제곱근을 구합니다.
- 각 주가와 평균의 차이를 제곱한 후 평균을 구하고, 그 값의 제곱근을 구합니다.
- 상단선(Upper Band) :
- 중심선에 표준편차의 두 배를 더한 값입니다.
- 중심선에 표준편차의 두 배를 더한 값입니다.
- 하단선(Lower Band) :
- 중심선에 표준편차의 두 배를 뺀 값입니다.
- 중심선에 표준편차의 두 배를 뺀 값입니다.
| 볼린저밴드 활용 방법 |
과매수와 과매도
- 과매수 신호 : 주가가 상단선을 돌파할 때 과매수 상태를 나타냅니다. 이는 주가가 지나치게 높아졌음을 의미하며, 매도 신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볼린저밴드의 상단선을 돌파할 때 매도 포지션을 고려합니다.
- 과매도 신호 : 주가가 하단선을 하향 돌파할 때 과매도 상태를 나타냅니다. 이는 주가가 지나치게 낮아졌음을 의미하며, 매수 신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볼린저밴드의 하단선을 돌파할 때 매수 포지션을 고려합니다.
변동성 분석
- 밴드 폭(Bandwidth) : 상단선과 하단선 간의 거리를 나타내며, 주가 변동성이 커지면 밴드의 폭이 넓어지고 변동성이 줄어들면 밴드 폭이 좁아집니다. 밴드 폭이 넓어 질 때 변동성이 커지므로 추세 매매를 고려하고, 밴드 폭이 좁아질 때 변동성이 줄어들므로 조정이나 횡보를 예상합니다.
- 스퀴즈(Squeeze) : 밴드 폭이 좁아지는 현상으로, 이는 보통 큰 변동성이 다가올 가능성을 나타내며 스퀴즈 이후 밴드가 확장될 때 강한 추세가 시작 될 수 있습니다. 스퀴즈 발생 시 진입 기회를 모색하고, 밴드가 확장되면 해당 방향으로 매매 포지션을 설정합니다.
추세 확인
- 밴드의 기울기 : 상단선과 하단선의 기울기가 위로 향하면 상승 추세를, 아래로 향하면 하락 추세를 나타냅니다. 밴드가 상승 추세를 나타낼 때 매수 포지션을 유지하고, 하락 추세를 나타낼 때 매도 포지션을 유지합니다.
| 볼린저밴드 활용시 주의사항 |
- 복합적인 분석이 필요합니다 : 어떤 지표라도 같지만, 복합적인 분석이 필요합니다. RSI나 MACD등의 보조 지표와 함께 사용하여 매매 신호를 분석해야합니다.
- 추세가 강할 때는 항상 추세 반전으로 받아들이면 안됩니다 : 추세가 강한 상태에서 주가가 상,하단선을 돌파한다고 항상 추세 반전이 있을거라고 생각하면 안됩니다. 추세가 강할 때는 주가는 밴드 밖에 머무를 수 있습니다.
- 타임 프레임의 설정 : 볼린저 밴드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20일 이동 평균선을 사용하지만, 주로 매매하는 시간 프레임에 맞춰서 조정할 필요성이 있습니다. 단기 매매의 경우 짧은 기간의 이동평균선을, 장기 투자자의 경우는 긴 기간의 이동평균선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 과잉 매매 주의 : 볼린저 밴드의 신호가 자주 발생하면, 매수 매도 횟수가 증가하며 거래 비용이 증가합니다. 그에 따른 수익이 감소가 될 수 있으니 매매 계획을 준비해야합니다.
| 볼린저밴드 활용 예시 |
얼마전 포스팅에서도 다뤘던 네이버(NAVER) 주식의 차트입니다. 네이버는 우량주로, 횡보장에서 볼린저 밴드의 활용을 잘 할 수 있습니다. 앞서 다뤘던 RSI, MACD 보조지표도 함께 활용하면 좋지만 본 포스팅에서는 볼린저 밴드를 중점으로 본다면, 추세 전환을 위해 6월 초에는 하락 추세를 멈추고 다시 볼린저 밴드 상단(BB 상한 20, 2.00)을 향해 주가가 상승해야 했습니다. 하지만 주가는 추가적인 하락을 나타내는 모양으로 진행되고있습니다. 이런 주가 흐름때문에 볼린저 밴드만 믿고 매매하면 안된다는 것입니다. 일,주봉상으로 볼린저 밴드는 확장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강한 추세가 이어지고 변동성이 커질 가능성을 나타냅니다. 현재 하락추세에 있으므로 하락이 어디까지 이어질지 충분하게 기다린 후 매매하는 것(기다림...忍)이 현재 주가에서는 좋다고 판단됩니다. 얼마전 포스팅에서 17만원 ~ 16만원 분할 매수를 생각하고 있었는데... 과연 예상한대로 차트가 만들어질지 기다려집니다. 볼린저 밴드 하단 근처에서 추세 되돌림이 보일때 매수하거나 천천히 분할 매수하며 볼린저 밴드 상단까지 도달하는 것을 기다린 후 매도하는 것이 볼린저 밴드 지표의 바람직한 활용방법이 되겠습니다.
볼린저밴드는 투자자들에게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적 지표입니다. 이를 통해 주가의 과매수와 과매도 상태를 파악하고, 투자 결정을 내리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적절한 매수와 매도 시점을 파악하여 성투하시길 바랍니다~!
'주식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고수 벤치마킹] SK바이오팜 (0) | 2025.02.24 |
---|---|
[주식 스터디] 피보나치 되돌림(Fibonacci retracement) 이해하기 (21) | 2024.06.18 |
[주식 스터디] MACD (Moving Average Convergence Divergence) 이해하기 (3) | 2024.06.03 |
[주식 스터디] RSI(Relative Strength Index) 이해하기 (0) | 2024.06.01 |